복지로 홈페이지 바로가기
다른건 몰라도 여긴 꼭 가세요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로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그리고 한부모가정과 장애인 가구를 위한 정책을 비롯해 임산부나 청년을 위한 다양한 복지정책 안내 및 온라인 신청을 받고있습니다. 자세한건 직접 방문해서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우리가 조금만 검색해봐도 자주 등장하는 단어로 복지로를 꼽을 수 있습니다. 이건 조금이라도 복지혜택을 받아본 분들은 모르고 살 수 없을 정도로 방대한 혜택을 총망라해서 저장한 창고같은 곳입니다. 이것만 잘 활용해도 굳이 주민센터 행정복지센터 같은 곳을 일부러 시간 쪼개서 찾아갈 필요가 없어집니다.
일례로 보육료가 지원되는 만 0세~5세 아동이라면 복지로 누리집 홈페이지로 들어가서 보육료 지원과 아이행복카드 발급을 온라인으로 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아래를 따라가면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만나볼 수 있습니다.
≫ 복지로 사이트 ≪
위 안내처로 방문하면 처음부터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급여 신청안내가 나옵니다. 해당 나이의 자녀가 있는 부모님들이라면 절대 놓쳐선 안되는 정보입니다.
가장 커다란 이미지를 주목하다보면 자동으로 롤링되면서 나오는 청년주거급여 분리지급도 보입니다. 부모님과 멀리 떨어져사는 미혼 청년들에게 별도의 주거생활안정비를 지원한다는 내용입니다. 이외 긴급생계비 지원 자격조건이 궁금하면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첫화면에서 눈을 아래로 내리면서 동시에 마우스 휠로 스크롤을 내리면 한눈에 보는 복지정보가 나옵니다. 생애주기와 가구상황 그리고 관심주제 별로 아이콘을 선택해서 본인에게 맞춤형으로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탐색가능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예시로 생애주기 > 임신출산 >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쪽은 어떤 복지 정부지원금을 주는지 알아봅니다.
부부가 사랑으로 아이를 낳게되면 행복과 동시에 걱정거리도 시작됩니다. 이제막 태어난 갓난아이를 어떻게 케어할지 산모는 잘 모르기 때문이죠. 본인의 몸도 돌보면서 아이까지 동시에 케어한다는건 거의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로 힘든 일입니다.
정부는 이러한 불편함을 잘 알고 있어 건강관리사를 파견해 일정 기간 출산가정을 방문해 산후관리를 도울 수 있도록 서비스 이용권을 지급해서 지원을 아끼지 않습니다. 이걸 본인이 전부다 해결하려고 했다면 비용부담이 상당하지만 정부 지원제도를 이용할 경우 부담을 상당히 덜 수 있습니다.
태아유형에 따라 단태아, 쌍태아 삼태아로 나뉘게 되며 첫째인지 둘째인지 혹은 투입되는 인력에 따라 서비스 되는 기간이 달라짐을 알 수 있습니다. 저는 가볍게 설명드리고자 하나의 정책만 말씀드렸지만 본인의 상황에 따라서 선택해서 복지혜택을 누릴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상당히 많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그리고 당연하겠지만 대다수의 서비스의 주된 핵심대상층은 중위소득이 상대적으로 낮은 분들 위주로 더욱 많은 지원이 우선적으로 이뤄지게 됩니다. '나는 왜? 안되지?' 라고 불평과 불만이 있을 수 있지만 이는 차별하고자 하는것이 아닌 부득이한 상황에 처한 분들을 먼저 돕겠다는 방침으로 이해하고 넘어가주시길 당부드립니다.
아동수당,여성장애인 출산비용 지원 및 유아학비, 아이돌봄 서비스, 기초연금, 장제급여, 요금감면 서비스까지 생활 전반에 필요한 다양한 누림의 미학이 한가득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그 어떤 나라보다 부익부 빈익빈이 심한 나라입니다. 이번 정부가 들어서면서 격차는 하늘과 땅만큼 더욱 커졌습니다.
빚내서 집사라고 기회를 주었던 지난 정권에 비한다면 지금은 감히 꿈도 꾸기 어려울 정도로 도달할 수 있는 거리감이 커져버린 상황입니다. 부자가 될 수 없다면 복지라도 차곡차곡 받는걸로 위안을 삼아야할 것 같습니다. 분하지만 저는 받아들이며 살고 있구요.
이건 잘 모르는분들이 많은것 같아서 소개합니다. 일반적으로 온라인에서 각종 민원증명서류를 발급받을때 정부24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 발급이나 차상위계층 확인서는 복지로 홈페이지 바로가기를 통해 얼마든지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으니 꼭 이용해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여담이지만 인터넷이 불안정해서 그런지 벌써 두번째 글작성 중입니다. 모쪼록 누락되는일만 없길 바랍니다.
댓글 영역